러 스텔스 전투기에 극초음속 미사일을?…Su-57에 ‘지르콘’ 장착 [밀리터리+]

박종익 기자
박종익 기자
수정 2025-08-07 22:10
입력 2025-08-07 22:10
이미지 확대
러시아 Su-57 전투기와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지르콘의 그래픽 이미지. 자료사진
러시아 Su-57 전투기와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지르콘의 그래픽 이미지. 자료사진


러시아의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수호이(SU)-57에 극초음속 미사일이 장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러시아 항공우주군 참모총장 알렉산드로 막심체프 장군은 국방부 기관지 ‘크라스나야 즈베즈다’와의 인터뷰에서 “국가 방위 명령에 따라 항공우주군이 매년 첨단 무기 체계를 도입하고 있다”면서 “5세대 Su-57 전투기 도입 속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식 항공 타격 체계와 극초음속 무기도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막심체프 장군은 구체적으로 어떤 극초음속 미사일을 장착했는지 밝히지 않았으나, 미국 군사전문 매체 밀리터리 워치 매거진 등 외신은 신형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지르콘’으로 추정했다. 러시아가 자랑해온 지르콘은 음속 9배(마하 9)로 날아 600~1500㎞ 떨어진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다. 특히 마하 5 이상의 극초음속 미사일은 기존 미사일방어(MD) 체계로는 사실상 요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차세대 ‘꿈의 신무기’로 불리기도 한다. 러시아군은 수년 동안 지르콘을 시험 발사해오다 2023년 이후 군함과 잠수함에 실전 배치했다.

이미지 확대
2022년 지르콘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발사하는 러시아 군함의 모습. 자료사진
2022년 지르콘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발사하는 러시아 군함의 모습. 자료사진


밀리터리 워치 매거진은 러시아가 군함과 잠수함에 배치된 지르콘의 공중 발사 파생형이 개발 중이라는 것은 과거에 확인된 바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외신들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 Su-57에 극초음속 미사일이 장착됐다는 주장에 주목하고 있다. Su-57은 미국 록히드마틴의 제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에 비견되는 러시아의 ‘대표선수’다. Su-57은 길이 19.8m, 날개폭은 14.1m로 최고 속도가 마하 2.0에 이른다. 그간 러시아 국영 언론은 종종 Su-57의 성능이 미국의 F-22나 F-35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더 낫다고 주장해왔다.

이미지 확대
지난 2월 인도 벵갈루루의 옐라항카 공군기지에서 러시아의 Su-57(왼쪽)과 미국의 F-35가 마주치는 광경이 펼쳐졌다. 엑스 캡처
지난 2월 인도 벵갈루루의 옐라항카 공군기지에서 러시아의 Su-57(왼쪽)과 미국의 F-35가 마주치는 광경이 펼쳐졌다. 엑스 캡처


우크라이나 언론 유나이티드24 미디어는 “러시아의 극초음속 미사일은 Su-57 내부 무기창에 맞춰 설계됐다”면서 “이 통합이 성공적이라면 Su-57은 스텔스와 초음속 공격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전 세계에 거의 없는 공격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 언론은 Su-57의 한정된 생산량, 엔진 개발 지연, 탑재 센서 완성도에 의문이 있다며 우크라이나전에서도 제한적인 전투 임무 수행만 목격됐다고 지적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