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는 죽지 않고 사라질 뿐… 계속 쓸 것”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수정 2025-09-26 01:18
입력 2025-09-26 01:18

현기영, 이호철통일로문학상 수상

2023년 출간 장편 ‘제주도우다’
제주 4·3 사건 비극·아픔 형상화
이미지 확대
소설가 현기영
소설가 현기영


“작가의 길은 정년이 없습니다. 그러니 앞으로도 계속 써야 하겠습니다. 작가는 죽지 않고 서서히 사라질 뿐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습니다.”

제주 4·3 사건의 비극과 아픔을 문학으로 형상화한 소설가 현기영(84)은 2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9회 이호철통일로문학상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현기영은 2023년 출간한 장편소설 ‘제주도우다’로 이호철통일로문학상 본상을 받았다. 이 상은 분단의 현실과 실향민의 애환을 문학으로 승화한 소설가 이호철(1932~2016)의 뜻을 기리기 위해 서울 은평구가 2017년 제정했다. 이날 본상과 함께 젊은 작가에게 주어지는 특별상에는 소설가 김기창(47)이 호명됐다.

본상 선정위원장을 맡은 권성우 문학평론가는 “현기영의 문학은 초유의 역사적 비극이 장기간의 세월 동안 한 작가의 문학적 열정, 팽팽한 미적 긴장, 극진한 예술혼에 의해 얼마나 우뚝한 문학적 성채로 거듭날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고 평했다.

현기영은 일곱 살이던 1948년 제주에서 4·3을 직접 겪었다. 이런 경험에서 집필한 ‘순이 삼촌’은 한국 현대문학사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현기영은 “제주 4·3 항쟁의 이야기를 꺼내기만 하면 ‘빨갱이’라고 보는 시각이 팽배한 가운데서 그 정당성을 말하는 것이 두렵기도 했다”고 고백했다. 그는 “유감스럽게도 ‘4·3 문학’은 잘 팔리지 않는데, 그것은 끔찍한 참혹상이 독자를 질리게 하기 때문인 것 같다”면서도 “과거 속에 진짜 인간들이 있고, 진짜 이야기가 있으며 그것이 강한 설득력을 가지려면 정교한 미학적 전략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경진 기자
2025-09-2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