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100년 먹거리 ‘바이오 헬스케어’ 육성

이종익 기자
수정 2025-07-16 14:39
입력 2025-07-16 14:39
도, 천안서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
바이오헬스 등 전략 공유…의견 수렴
김태흠 충남지사와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 등이 16일 세라젬 기업을 방문해 애로사항 등을 청취하고 있다. 이종익기자
충남 100년 미래 먹거리를 위해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분야 경쟁력 강화가 추진된다.
충남도는 16일 천안의 세라젬에서 김태흠 지사와 공무원, 8개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 상황 현장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바이오 헬스 미래 신산업 허브 조성을 위해 기업 현장에서 의견을 듣고 산업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해 마련됐다.
도는 이날 ‘충남 바이오 헬스케어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신기술 연구개발(R&D) 지원과 인력 양성 등으로 바이오헬스 융복합 핵심 거점(허브) 조성 계획을 밝혔다.
육성 전략에 따르면 바이오·의료기기 기술 고도화 전주기 지원 거점을 위해 9월 신기술 R&D를 지원하는 바이오·의료 종합지원센터를 개소한다.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개발·생산 체계 구축을 위한 의약품 상용화센터가 11월 준공하고, 공정개발혁신센터도 착공한다.
해외 의료기기 규제 대응 등 해외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바이오·의료기 해외 진출 지원센터는 2027년 내포에 들어설 계획이다.
2027년 문을 열 카이스트 그린바이오연구소 중심으로 그린바이오 전문가도 양성한다.
도는 바이오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한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은 걸음마 단계지만 분명한 목표와 방향이 있다”며 “연구개발, 실증, 인허가, 사업화로 이어지는 ‘바이오 전주기 지원체계’를 제대로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도는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을 100년 미래 먹거리로 반드시 키워낼 것”이라며 “기업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규제 개선, 인재 양성, 연구개발, 수출 지원 등 실질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회의에선 충남경제진흥원의 ‘충남 바이오 헬스 케어산업 동향 점검’ 보고를 통해 국내외 관련 산업 현황과 동향을 공유했다.
천안 이종익 기자
바이오헬스 등 전략 공유…의견 수렴

충남 100년 미래 먹거리를 위해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분야 경쟁력 강화가 추진된다.
충남도는 16일 천안의 세라젬에서 김태흠 지사와 공무원, 8개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 상황 현장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바이오 헬스 미래 신산업 허브 조성을 위해 기업 현장에서 의견을 듣고 산업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해 마련됐다.
도는 이날 ‘충남 바이오 헬스케어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신기술 연구개발(R&D) 지원과 인력 양성 등으로 바이오헬스 융복합 핵심 거점(허브) 조성 계획을 밝혔다.
육성 전략에 따르면 바이오·의료기기 기술 고도화 전주기 지원 거점을 위해 9월 신기술 R&D를 지원하는 바이오·의료 종합지원센터를 개소한다.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개발·생산 체계 구축을 위한 의약품 상용화센터가 11월 준공하고, 공정개발혁신센터도 착공한다.
해외 의료기기 규제 대응 등 해외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바이오·의료기 해외 진출 지원센터는 2027년 내포에 들어설 계획이다.
2027년 문을 열 카이스트 그린바이오연구소 중심으로 그린바이오 전문가도 양성한다.
도는 바이오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한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은 걸음마 단계지만 분명한 목표와 방향이 있다”며 “연구개발, 실증, 인허가, 사업화로 이어지는 ‘바이오 전주기 지원체계’를 제대로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도는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을 100년 미래 먹거리로 반드시 키워낼 것”이라며 “기업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규제 개선, 인재 양성, 연구개발, 수출 지원 등 실질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회의에선 충남경제진흥원의 ‘충남 바이오 헬스 케어산업 동향 점검’ 보고를 통해 국내외 관련 산업 현황과 동향을 공유했다.
천안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