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에 이탈리아 국기가… ‘서툴지만 또박또박’ 한국어 연설한 가토 대사 화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수정 2025-07-20 14:12
입력 2025-07-20 14:12
자국 건국기념일 행사서 이례적 한복 차림
이미지 확대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가 지난달 2일 서울 용산구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저에서 열린 이탈리아 건국기념일 행사에서 한복을 입고 한국어로 연설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알베르토 몬디’ 캡처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가 지난달 2일 서울 용산구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저에서 열린 이탈리아 건국기념일 행사에서 한복을 입고 한국어로 연설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알베르토 몬디’ 캡처


한국에서 열린 이탈리아 건국기념일 행사에 주한 이탈리아 대사가 한복을 입고 한국어로 연설을 한 일이 온라인상에서 뒤늦게 화제가 되고 있다.

20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과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지난달 23일 유튜브 채널 ‘알베르토 몬디’에 올라온 영상 속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의 인터뷰 내용이 주목받고 있다.

가토 대사의 패션과 연설이 화제가 된 행사는 1946년 이탈리아공화국 탄생을 기념하는 건국기념일인 지난달 2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저에서 열렸다.

가토 대사는 연단에 올라 서툰 한국어로 또박또박 “여기 이탈리아 대사관에서는 저희 모두가 한 팀으로 일하고 있다”며 “이탈리아에 한국의 기술과 역사를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는 “대사님이 처음부터 끝까지 한국어로 연설했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인터뷰에서 가토 대사는 이날 연설을 100% 한국어로 한 이유에 대해 “한국어를 좋아한다. 언어를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 한국인들의 여러 모습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가토 대사는 “세종대왕의 팬이 됐다”고도 했다. 그는 “세상 어디에도 한 사람이 문자를 창조한 사례는 없다”고 부연했다.

이미지 확대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가 지난달 2일 서울 용산구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저에서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와 인터뷰 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알베르토 몬디’ 캡처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가 지난달 2일 서울 용산구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저에서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와 인터뷰 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알베르토 몬디’ 캡처


건국기념일 행사임에도 이탈리아 전통 복장이 아닌 한복을 입은 의미도 밝혔다. 가토 대사는 이날 흰색 바탕 위에 이탈리아 삼색기가 수 놓인 한복 저고리를 선보였다. 치마는 붉은색, 허리띠와 저고리 소매 끝은 초록색으로 디자인돼 전체적으로 이탈리아 삼색기를 떠올리게 했다.

가토 대사는 “이탈리아와 한국 사이의 우정을 상징하는 것 같다”며 흡족해했다.

그는 “한국은 K팝, K드라마, K뷰티 등 강력한 소프트파워를 바탕으로 유럽에서도 이미 곳곳에 스며들고 있다”면서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한국의 깊이 있고 진정한 문화와 역사가 있다. 아직 세계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한국의 다양한 문화적 측면들도 소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가 지난달 2일 서울 용산구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저에서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와 인터뷰 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알베르토 몬디’ 캡처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가 지난달 2일 서울 용산구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저에서 이탈리아 출신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와 인터뷰 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알베르토 몬디’ 캡처


그러면서 “반대로 우리 이탈리아는 역사와 문화유산을 잘 알려져 있지만 ‘기술 강국’으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며 “이런 인식을 바꾸는 게 제겐 매우 중요한 과제다. 한국과 이탈리아는 서로 보완하는 관계인 것 같다. 한국의 깊고 풍분한 문화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탈리아 건국기념일 행사에서 한복 입은 가토 대사의 모습을 접한 네티즌들은 “역시 패션의 나라 이탈리아답다”, “세종대왕을 너무 잘 알고 계셔서 감사하다”, “한복 아이디어에 감동이 느껴진다” 등 반응을 보였다.

이정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