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온 집안 물바다 되는 데 10분” 15년 만에 또 침수된 이 곳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민경석 기자
민경석 기자
수정 2025-07-20 14:57
입력 2025-07-20 14:43

대구 노곡동, 2010년에도 침수 피해
주민들 “폭우 당시 제진기 작동 안해”
대구시, 노곡동 침수 피해 원인 조사

이미지 확대
지난 19일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침수 피해를 입은 한 주민이 빗물에 젖은 가재도구를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2025. 07. 20. 대구 민경석 기자
지난 19일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침수 피해를 입은 한 주민이 빗물에 젖은 가재도구를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2025. 07. 20. 대구 민경석 기자


“온 집안이 물바다가 되는 데 10분도 채 안 걸렸어요.”

전국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침수피해를 입은 대구 북구 노곡동 주민 김혜록(여·62)씨는 지난 19일 뻘밭으로 변해버린 집안을 바라보며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이같이 말했다. 김씨는 15년 전인 2010년에도 침수피해를 입었다.

지난 17일 노곡동에선 시간당 40㎜의 비가 내리면서 주택·상가 20채와 차량 40여 대가 물에 잠겼다. 주민 26명이 폭우에 고립됐다가 119구조대의 보트를 타고 대피했다. 당시 소방 당국에는 “집 안에 물이 차오르고 있다”, “식당이 물에 잠겼다”는 피해 신고가 빗발쳤다.

이미지 확대
지난 17일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본 대구 북구 노곡동 주민이 자신의 집안에 물이 차오르던 당시를 설명하고 있다. 2025. 07. 19. 대구 민경석 기자
지난 17일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본 대구 북구 노곡동 주민이 자신의 집안에 물이 차오르던 당시를 설명하고 있다. 2025. 07. 19. 대구 민경석 기자


가장 큰 피해를 본 김씨의 집 안으로 들어서자 벽면 절반 높이까지 물이 차올랐던 흔적이 남아있었다. 마을 곳곳에는 진흙과 나뭇가지, 빗물로 훼손된 가재도구가 널브러져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김씨는 “가슴팍까지 물이 밀려 들어왔는데,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며 “앞으로 또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해 몸에 힘이 하나도 없을 지경”이라고 토로했다.

물에 젖은 가구와 가전제품을 바라보던 주민들은 고쳐 쓸 만한 물건은 없는지 살피느라 여념이 없었다. 침수된 차를 수건으로 닦던 한 주민은 한숨을 연거푸 내쉬었다.

일부 주민들은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마을에 물이 차오르던 당시 배수 펌프장의 제진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제진기는 배수로로 유입되는 물에 섞인 쓰레기 등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기기다. 쇠창살로 된 스크린에 걸린 쓰레기를 밖으로 걷어내야 배수펌프가 작동한다.

김수헌(56)씨는 “비가 올 때 쓰이는 제진기가 작동 중 고장이 났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비가 온다고 예보가 돼 있었는데도 관리가 미흡했던 데서 비롯된 인재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또 다른 주민 김정희(61)씨도 “비가 내리던날 마을 앞에 흐르는 금호강이 넘치지도 않았는데 온 동네가 물바다가 됐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대구 북구 노곡동에 있는 배수펌프장. 2025. 07. 19. 대구 민경석 기자
대구 북구 노곡동에 있는 배수펌프장. 2025. 07. 19. 대구 민경석 기자


이에 대해 배수펌프장 관계자는 “처음부터 제진기가 작동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라며 “갑작스레 내린 비로 고지대에서 쓰레기와 나뭇가지 등이 순식간에 밀려 내려오면서 제진기에 부하가 걸려 작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날 펌프장 주변에는 크레인 집게차가 수시로 쓰레기와 나뭇가지를 실어 날랐다. 이와 관련, 대구시는 노곡동 일대 침수 피해와 관련해 본격적인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글·사진 대구 민경석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