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트럼프 관세’ 충격… 美 수입시장 7위→ 10위

민나리 기자
수정 2025-10-08 18:08
입력 2025-10-08 18:08
대만·아일랜드·스위스에 추월당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충격으로 미국 수입 시장 내 한국의 입지가 주요 경쟁국 대비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무역협회가 미국 상무부 통계를 분석한 결과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 여파로 올해 1~7월 한국은 미국의 10대 수입국 순위에서 10위로 밀려났다. 지난해 7위에서 세 계단 하락한 것으로 무역협회가 자료를 관리해 온 1988년 이후 가장 낮은 기록이다. 한국은 2009년부터 15년간 6~7위 자리를 지켜 왔다. 올해 들어 지난 7월까지 미국은 한국에서 총 756억 달러(약 102조 600억원)어치 상품을 수입했으며, 이는 미국의 전체 수입액 중 3.7%였다. 지난해 한국은 4.0%로 7위였다.
올해 미국의 1~9위 수입국은 멕시코(15.0%), 캐나다(11.2%), 중국(9.4%), 베트남(5.2%), 대만(4.9%), 아일랜드(4.6%), 독일(4.5%), 일본(4.2%), 스위스(4.2%) 순이었다. 특히 지난해 한국보다 순위가 낮았던 대만, 아일랜드, 스위스 모두 한국을 추월했다.
한국의 순위 하락은 자동차, 철강, 기계 등 핵심 수출품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 대상이 되면서 상대적으로 큰 부정적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지난 8월 대미 수출을 보면 철강(-32.1%), 자동차부품(-14.4%), 일반기계(-12.7%) 등 고율 관세 영향을 받은 품목의 수출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현대자동차·기아가 25% 고율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한국산 전기차 수출을 줄이는 대신 현지 공장 생산 물량을 미국 시장에 집중 투입하면서 국내 대미 자동차 수출 둔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 경쟁국인 대만은 지난해 8위(3.6%)에서 올해 1~7월 5위로 도약했다. 대만은 주력인 반도체 품목이 관세의 직접적 영향권 밖에 있어 수출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한국과 무역구조가 유사한 일본 역시 지난해 5위에서 올해 1~7월 8위로 세 계단 하락했다.
민나리 기자
2025-10-09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