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 난항 겪던 11번가, SK 품에 남는다…SK플래닛 자회사 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은서 기자
박은서 기자
수정 2025-10-29 19:04
입력 2025-10-29 19:04
이미지 확대
11번가 그랜드 십일절 이미지. 11번가 제공
11번가 그랜드 십일절 이미지. 11번가 제공


지난해부터 매각을 추진했으나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았던 11번가가 SK플래닛의 자회사가 되며 SK그룹에 남게 됐다.

11번가의 모회사인 SK스퀘어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11번가 지분 100%를 SK플래닛에 매각하는 안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총매매대금은 SK스퀘어가 보유한 지분(3810억원), 재무적 투자자(FI)인 나일홀딩스 컨소시엄 지분(863억원)을 합친 4673억원으로, SK플래닛은 이를 연내 나일홀딩스에 지급할 예정이다.

국민연금·새마을금고와 사모펀드 운용사 H&Q코리아 등으로 구성된 나일홀딩스는 2018년 5000억원을 투자해 11번가의 지분 18.2%를 확보했다.

투자 약정상 조건은 5년 내 기업공개(IPO)였는데 이것이 무산됐고, SK스퀘어가 나일홀딩스의 보유 지분을 다시 사들이는 ‘콜옵션’ 행사를 포기함에 따라 나일홀딩스가 투자금 회수를 위해 직접 11번가의 매각을 진행해왔다.

이커머스 시장 경쟁이 심화하면서 11번가의 인수자 찾기는 난항을 겪어왔다. SK스퀘어와의 협상 끝에 나일홀딩스는 동반매도청구권을 행사해 11번가 지분 전량을 SK플래닛에 매각해 기존 배당금을 포함해 투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게 됐다.

국민연금 투자금이 3500억원으로 가장 컸단 점이 SK스퀘어가 자회사를 통해 11번가 지분을 사들이도록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분 인수 자금은 SK스퀘어 증자와 SK플래닛 자체 자금을 통해 마련한다.

SK플래닛과 11번가는 기존엔 SK스퀘어 산하 각각 자회사로 있었으나 이번 결정으로 SK스퀘어-SK플래닛-11번가로 지배구조가 변경됐다.



OK캐쉬백을 운영하는 SK플래닛과 11번가는 앞으로 마일리지·커머스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계획을 밝혔다. SK플래닛은 11번가를 기반으로 마일리지 적립, 사용처를 크게 확장하게 되며 11번가는 안정적 사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양사는 기존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기술 역량을 통합해 11번가를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커머스 플랫폼으로 키우겠다고 했다.

박은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