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엔 80%가 사탐런?…마지막 통합 수능 변수 된 탐구영역[에듀톡]

김지예 기자
수정 2025-10-25 08:00
입력 2025-10-25 08:00
“올해 사탐 응시 77%…내년 더 증가
과탐 2개 선택, 10%대로 줄어들 듯”
과탐 등급 확보·입시 유불리 따져봐야
다음달 13일 시행되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사탐런’이 변수로 꼽히는 가운데 대입제도 개편 전 마지막 수능인 2027학년도 수능에서 사회탐구 응시자가 80%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탐런’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 탐구영역이 입시의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종로학원은 2026학년도 수능에서 사회탐구 과목을 1개 이상 선택한 수험생이 전체의 77.3%로 나타났고 2027학년도에는 80%를 넘어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4일 밝혔다.
‘사탐런’이란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상대적으로 공부 부담이 적은 사회탐구로 갈아타는 것을 말한다. 교육부가 ‘문·이과 통합 취지에 맞는 전형을 운영하라’고 권고하면서 대학들이 자연계열 선택과목 제한을 폐지하기 시작한 2025학년도부터 확대됐다.
특히 지난해까지 의약계열과 이공계열은 수학 미적분·기하, 과학탐구를 지정해둔 경우가 많았지만 올해는 이 역시 폐지한 대학이 늘며 사탐런이 가속화했다. 사탐·과탐 혼합 응시가 처음 허용된 2022년도 이후 사탐 응시 비율은 2023학년도 53.3%, 2024학년도 52.2% 수준이었지만 2025학년도 62.1%, 2026학년도 77.3%로 급증했다.
내년에는 사탐런이 더 심화할 전망이다. 올해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탐 응시 비율을 보면, 3월 51.2%, 6월 53.0%, 9월 56.7%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고2와 동일 시점 대비 사탐 응시비율이 2.4~4.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기준으로 보면 사탐 과목 중 ‘생활과 윤리’ 응시 인원은 전년 8만 5127명에서 9만 3611명으로 10% 늘었다. ‘사회문화’는 7만 1348명에서 7만 4657명으로 4.6% 증가했고 ‘윤리와 사상’은 5만 518명에서 5만 4051명으로 7.0% 증가했다. 전체 사탐 9개 과목의 응시 인원은 전년보다 3.8%(1만 3828명) 늘었다.
반면 과학탐구는 ‘화학Ⅰ’이 전년 대비 20.2%, ‘지구과학Ⅰ’ 13.3%, ‘생명과학Ⅰ’ 12.6%, ‘물리학Ⅰ’ 10.7% 각각 감소해, 4개 과목 전체로는 14.1%(4만 6973명) 줄었다. 종로학원은 과학탐구만 선택한 수험생이 2026학년도 22.7%에서 2027학년도에는 10%대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사탐런’이 심화하면 과학탐구 선택자는 응시자 수 감소에 따라 상대적으로 등급 확보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2026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보면, 과탐 과목에서 2등급 이내를 받은 인원은 지난해 9월 모평 대비 1만 7626명(35.1%) 감소했다. 특히 화학Ⅰ(2018명·47.5%)이나 지구과학Ⅰ(7664명·40.9%)에서는 상위권이 반토막 수준으로 줄었다.
또 다수 대학이 정시에서 자연계열 지원 시 과학탐구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만큼, 이공계 지원생은 ‘사탐런’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6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와 대학입시 유불리 분석에 따라 겨울방학을 기점으로 사탐런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