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도 병 인양하여”…병 맞습니다! [사이언스 브런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수정 2025-07-11 14:00
입력 2025-07-11 14:00
이미지 확대
외로움은 모든 사람이 일반적으로 겪을 수 있는 일이지만,  외로움에 대한 주관적 감정이 강할 경우 우울증은 물론 다른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워드대 의대 제공
외로움은 모든 사람이 일반적으로 겪을 수 있는 일이지만, 외로움에 대한 주관적 감정이 강할 경우 우울증은 물론 다른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워드대 의대 제공


고려 말 문인 이조년은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 제/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라만은/다정도 병인 양 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라는 시조 ‘다정가’를 남겼다. 학창 시절 국어 시간에 들어봤던 여러 시조 중에 기억에 남는 이유는 “다정도 병인 양 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라는 구절 때문이다. 질병 분류 체계가 명확하지 않던 과거 ‘다정’을 병이라 할 수 없겠지만, 현대 정신의학 분야에서는 다정도 심하면 질병에 포함될 수 있다.

미국 하워드대 의대, 버밍엄 앨라배마대 텍사스 쿡 아동병원, 이스턴 일리노이대, 보스턴대 의대 공동 연구팀은 외로움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11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 7월 10일 자에 실렸다.

‘우울은 마음의 감기’라고 하는데, 감기처럼 누구나 쉽게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맞는 말이다. 그렇지만, 감기처럼 가볍게 여겨서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실제로 전 세계 각국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외로움으로 인한 우울증을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미국에 거주하는 남녀 성인 4만 7318명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전화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행동 위험 요인 감시 시스템’ 데이터를 분석했다. 조사 결과, 참가자의 80% 이상이 어느 정도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전혀’ 외롭지 않다는 사람보다 ‘항상’ 외롭다고 보고한 사람들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5배 이상 높았다.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신 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고 느끼는 날이 한 달 평균 10.9일 정도 더 많았고, 신체 건강 문제를 호소한 날도 5일 더 많았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외로움 수준과 관계없이 우울증 발병 소지와 더 열악한 정신 건강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외로움이 단순히 감정적 상태가 아니라 정신적, 신체적 건강 모두에 측정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래서 외로움을 해결하는 것이 우울증을 줄이고, 신체적, 정신적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공중보건 우선순위라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올루와세군 오스틴 아키니에미 하워드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외로움이 건강의 모든 측면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공중보건 계획을 세울 때 외로움을 전통적 위험 요인과 함께 우선순위로 다뤄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