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무시무시한 더위 온다…죄송스러울 따름” 기상학자의 사과

조희선 기자
수정 2025-07-30 11:04
입력 2025-07-30 11:04

7월 초부터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진 가운데 8월에도 평년에 비해 더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백민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29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올해가 정말 무서운 건 아직 7월이라는 것”이라며 “아직 더 무시무시한 더위가 남아있다는 게 참 저도 죄송스러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이어 “8월에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될 것”이라며 “이 추세로 가면 올해 8월에 역대 폭염 기록이 깨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기상청 역시 지난 24일 발표한 1개월 전망에서 8월 내내 기온이 평년기온을 웃도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8월 첫 주와 둘째 주는 평균기온이 평년기온보다 높을 확률과 비슷할 확률을 각각 40%로 같게 제시했지만, 셋째 주와 넷째 주는 평균기온이 평년기온보다 높을 확률을 60%로 평년기온과 비슷할 확률(30%)보다 높게 제시했다.

김 교수는 역대급 폭염의 이유로 기후 변화를 꼽았다. 그는 “기후 변화가 지구를 전체적으로 데우는 게 아니라 여러 가지 패턴을 만들어 낸다. 그중 중요한 것이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이라며 “이 고기압 세력이 우리나라를 덮을 때면 햇빛이 계속 지면을 가열해서 뜨거워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이 한반도에 계속 자주 출몰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고 있어서 (더위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 교수는 또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이 덮고 있는 상태에서 남쪽에서 태풍이 발달했다가 소멸하면서 강력한 수증기 덩어리를 한반도로 밀어 올려버리고 있다”며 “그래서 이렇게 굉장히 후텁지근한 날씨가 지속되게 만들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수증기가 계속 우리나라로 공급이 되면 열대야가 지속된다. 올해도 그런 현상이 반복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9월 중순은 돼야 시원해질 것이라고 추측했다.
기상청도 체감온도 35도 안팎의 무더위와 열대야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행정안전부는 “무더위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야외 활동을 자제해달라”며 “충분히 물을 마시고 그늘에서 휴식하는 등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희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