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아닌데도 ‘난 비만’…여성 28%의 착시

이현정 기자
수정 2025-11-10 15:59
입력 2025-11-10 15:59
실제 비만율 34%, 하지만 절반은 “나는 비만”
날씬함 강요하는 사회, 주관적 비만 인식에 영향
30~40대 남성 2명 중 1명 비만
지역별 비만율, 전남·제주 가장 높아
‘실제 몸’보다 ‘느끼는 몸’이 더 무거웠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율(체질량지수 25 이상)은 34.4%이지만, 자신이 비만이라고 답한 비율은 54.9%에 달했다. 날씬한 몸매에 대한 사회·문화적 강박이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청이 5일 발표한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인 비만율은 10년 전(26.3%)보다 약 30.8% 증가했다. 남성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였으며, 특히 30∼40대 남성은 각각 53.1%, 50.3%로 두 명 중 한 명꼴이었다.
체형 인식은 현실과 더 큰 괴리를 보였다. 실제 비만이 아닌데도 여성의 28.2%는 “나는 비만이다”라고 답했다. 같은 조건에서 남성은 13.0%였다. 같은 몸을 두고도 남성은 현실보다 가볍게, 여성은 더 무겁게 평가한 셈이다. 여성에게 요구되는 외모 기준과 사회적 기대가 남성보다 강하게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지역별 차이도 컸다. 전남과 제주 비만율이 36.8%로 가장 높았고, 세종은 29.1%로 가장 낮았다. 시·군·구 중에서는 충북 단양군(44.6%)과 경기 과천시(22.1%)가 각각 최고·최저였다. 지역별 비만율이 두 배 가까이 벌어진 것이다.
비만은 심혈관질환과 제2형 당뇨병, 뇌졸중 등 주요 만성질환과 연관된다. 여성의 경우 호르몬 변화로 유방암·자궁내막암 위험 증가와도 관련된다.
최근 비만치료제 사용이 급증하며 “약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지만, 질병관리청은 약물 의존을 경고했다. 질병관리청은 “식이 조절과 운동 없이 치료제에만 의존하면 영양결핍, 근육량 감소, 대사 이상이 생길 수 있다”며 “중단 후 체중이 다시 늘고 대사 상태가 더 나빠질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