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37% 급락, 4200선 깨져
환율, 장중 1440원대까지 치솟아
개인 수익률, 외국인에 크게 뒤져
개미 빚투 규모, 반년 새 8조 급증
개인투자자의 ‘빚투’(신용거래융자) 규모가 역대급으로 불어나는 가운데 최근 들어 외국인은 팔고 개미들은 사는 패턴이 나타나면서 ‘동학개미 필패’ 비극이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37% 내린 4121.74에 마감했다. 코스피가 하락 마감한 것은 지난달 28일 이후 5거래일 만이다. 이날 개인투자자는 연초 이후 최대 규모인 2조 6891억원을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은 2조 2159억원을 순매도했다. 이 여파로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 중 1440원대까지 올랐으며, 종가도 전일보다 9.1원 오른 1437.9원으로 약 2주 만의 최고를 기록했다.
전날 달성했던 ‘11만전자’와 ‘62만닉스’도 하루 만에 꺾였다.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5.58% 급락한 10만 4900원에, SK하이닉스는 5.48% 떨어진 58만 6000원에 장을 마쳤다.
문제는 같은 상승장이라도 개미와 외국인의 성적표가 극명히 갈린다는 점이다. 실제로 서울신문이 분석한 10월 한 달 간 투자주체별 수익률 차이는 뚜렷했다. 개인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 기준 10월 1·2주차 개인 수익률은 -0.49%였지만, 외국인은 9.21%를 기록했다. 3주차에도 개인은 -4.31%로 손실을 본 반면, 외국인은 12.98% 수익률을 올렸다. 4주차 들어 개인이 1.85%로 수익률이 플러스 전환했지만 외국인(13.39%)에는 크게 못 미쳤고, 5주차 역시 개인 수익률(3.40%)은 외국인(8.08%)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외국인은 상승 종목 비중이 높고, 개인은 이미 많이 오른 종목에 추가 매수 비중이 크다”며 “지수가 오르더라도 외국인 중심의 수익 구조가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이 개인 수익률은 부진하지만 개인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신용거래융자 잔고인 일명 ‘빚투’ 규모는 역대급으로 늘고 있다. 지난 3월 17조 5938억원에서 지난 10월 말 25조 5268억원으로 반년 새 8조원 가까이 늘었다. 코로나19 유동성 장세 당시 찍은 정점 수준(2021년 9월 13일 25조 6540억원)까지 올라왔다.
코스피가 뛰고 개미가 ‘빚투’하는 모습은 처음이 아니다. 2020~2021년 코로나19 장세 당시 코스피는 2020년 3월 1457.64에서 2021년 7월 3305.21로 두 배 이상 뛰었는데, 이 때 개미 ‘빚투’도 급증했다. 2020년 3월 6조원 수준이던 신용융자 잔고는 2021년 9월에는 25조원 넘게 치솟았다. 삼성전자(9만 1000원), 카카오(55만 8000원), 네이버(45만 4000원) 등 대장주들은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며 ‘개미 장세’의 상징이 됐다. 하지만 2022년 이후 금리 인상 전환으로 상황은 급변했다. 개인이 집중 매수했던 종목들은 고점 대비 40~70% 하락했고, 신용융자 잔고도 2023년 한때 16조원대로 줄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빚투는 레버리지의 일종”이라면서도 “감내 가능한 수준의 투자와 포트폴리오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KB증권은 최근 자본시장법상 신용공여 한도에 도달하면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주식·펀드 등에 대한 담보대출을 중단했다.
박소연·이승연 기자
2025-11-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