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댓글의 속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수정 2025-10-23 01:56
입력 2025-10-23 00:38
이미지 확대


뉴스보다 댓글이 먼저 달린다. 제목만 보고도 분노가 쏟아지고, 사실이 밝혀지기도 전에 결론이 내려진다. 손가락이 먼저 움직이고, 이성은 나중에 따라온다. 생각이 숨을 고를 틈도 없이, 분노와 조롱이 화면을 채운다. 생각은 숙성되기 전에 흩어지고, 감정은 댓글로 쏟아진다. 결국 서로를 이해하지도 못한 채 ‘좋아요’와 ‘싫어요’만 남긴다. 클릭 한 번에 누군가의 인생이 흔들리지만, 정작 댓글을 남긴 이는 기억조차 하지 못한다. ‘나는 그냥 지나가다 한마디 했을 뿐’이라는 무심함이, 세상을 조금씩 차갑게 식혀 간다.

예전에는 말이 무겁고, 침묵이 미덕인 시절도 있었다. 이제는 저마다 목소리를 내야 존재가 증명된다. 그러나 말이 많아진 시대에, 정작 경청은 사라지고 사회는 균형을 잃는다.

우리는 언제부터 이렇게 급해졌을까. 한 템포 늦게 생각하고, 두 번쯤 숨을 고르면 어떨까. 누군가의 잘못보다 먼저 나의 판단을 의심해 보는 일. 그것이 이 시대의 ‘댓글 예절’일지 모른다.

인공지능(AI) 기술이 속도를 더 빠르게 하지만 멈춤은 인간만이 할 수 있다.

오일만 논설위원
2025-10-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