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이어 뼈, 심지어 골수까지 ‘이 화학물질’ 침투…“골절 위험 높이고 노화 가속”

김성은 기자
수정 2025-09-21 17:39
입력 2025-09-21 17:38

과학자들이 인간의 뼈 깊숙한 곳까지 미세플라스틱이 침투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플라스틱 입자들이 뼈 구조를 약화시키고 골다공증 같은 뼈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9일 과학 전문 매체 사이언스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상파울루 연구재단 지원을 받은 연구진이 62편의 논문을 검토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의 혈액, 뇌는 물론 뼈 조직까지 깊숙이 침투해 뼈 구조를 약화시키고 세포 노화를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다.
우리 주변의 커튼, 가구, 의류 같은 플라스틱 제품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이 계속 떨어져 나오고 있다.
이렇게 나온 미세한 입자들은 대기 중을 떠돌아다니거나 마시는 물에 섞이고, 음식 표면에 붙어 있다가 호흡이나 식사, 피부 접촉을 통해 우리 몸 안으로 들어간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사람의 혈액과 뇌, 태반, 모유는 물론 뼈에서까지 이런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의 생성을 늘려서 골수 줄기세포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만든다.
브라질 캄피나스 주립대 의과대학 로드리고 부에노 데 올리베이라 교수는 “실험실에서 뼈 세포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세포의 생존 능력을 떨어뜨리고 노화를 빠르게 진행시키며, 세포가 분화하는 과정을 방해하고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동물 실험에서는 파골세포 노화가 가속돼 뼈의 미세구조가 망가져 비정상적으로 형성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올리베이라 교수는 전했다.
이로 인해 뼈가 약해지고 모양이 변하며, 심하면 병적인 골절까지 생길 수 있다.
그는 “많은 연구 자료들이 미세플라스틱이 골수처럼 뼈 속 깊은 곳까지 침투해 뼈의 신진대사를 방해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올리베이라 교수 연구팀은 현재 이론상 가능한 일이 실제로도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연구에 착수했다.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되면 대사성 뼈 질환이 더 심해지는지를 동물 실험을 통해 알아보겠다는 것이다.
국제골다공증재단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의 결과 전 세계적으로 골다공증 관련 골절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2050년까지 골다공증 관련 골절이 현재보다 3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