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는 배추 더 많고, 벼는 제대로 못 자라… 타들어 가는 강릉 농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정호 기자
김정호 기자
수정 2025-09-02 00:05
입력 2025-09-02 00:05

‘꿀통 배추’ 늘어 출하량 반토막
농민들 “올해는 밭농사 포기해”

강원 강릉시를 덮친 극심한 가뭄으로 농심이 타들어 가고 있다. 배추는 속이 녹아 상품성을 잃었고, 벼는 물 부족으로 제대로 자라지 못했다. 농민들은 “수확이 절반으로 줄었는데도 값을 제대로 못 받는다”며 고개를 떨궜다.

지난달 중순부터 고랭지 배추 출하에 들어간 강릉 안반데기에서는 농산물도매시장으로 보내기 위해 트럭에 싣는 배추보다 버리는 배추가 더 많다. 가뭄에 배춧속이 녹아 버리는 이른바 ‘꿀통 배추’가 예년보다 크게 늘어서다. 국내 최대 고랭지 배추 산지인 안반데기는 해발 1100m 고지대에 자리잡아 여름에도 서늘한 기후 덕분에 전국 김장용 배추의 40%를 생산한다. 40년 넘게 배추 농사를 지은 김시갑(71)씨는 “날씨가 받쳐 주지 않으니 병충해가 극성일 수밖에 없다”며 “올해 출하량은 평년의 절반도 안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벼농사도 사정은 비슷하다. 봄부터 이어진 가뭄에 한여름 폭염이 겹치며 모내기부터 출수기까지 물이 턱없이 부족했다. 벼농사를 하는 김모씨는 “이런 날씨에 어떻게 농사를 짓겠느냐”며 “수확이 다가와도 걱정뿐”이라고 말했다.

수치로도 가뭄의 심각성이 드러난다. 지난 6개월간 강릉 누적 강수량은 387.7㎜로 평년(855㎜)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지난달 내린 비는 고작 41.1㎜, 평년의 15.6% 수준에 그쳤다. 농업·생활용수의 핵심 수원인 오봉저수지는 1일 오후 기준 저수율이 14.5%로 역대 최저치다. 강릉시는 지난달 말 농업용수 공급을 전면 중단했다. 향호(16.7%), 사천(23.5%), 신왕(25.1%), 동막(26.1%) 등 다른 저수지도 바닥을 드러내기는 마찬가지다.

김봉래(60) 강릉시농민회장은 “저수지, 하천, 계곡, 지하수까지 다 말랐다”며 “올해는 밭농사를 포기했다는 말이 농민들 사이에서 공공연히 나온다”고 밝혔다.

강릉 김정호 기자
2025-09-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