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계 ‘사탐런’에…9월 모평 사탐 응시율 15년 만에 최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수정 2025-08-26 12:33
입력 2025-08-26 12:33

9월 3일 모의평가, 사탐 응시자 61% 육박
지난해보다 8.1%포인트 상승…입시 변수

이미지 확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시행일인 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자고등학교에서 학생이 OMR카드에 마킹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시행일인 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자고등학교에서 학생이 OMR카드에 마킹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음달 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9월 모의평가에서 사회탐구 영역에 응시하는 수험생 비율이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사탐런’ 현상이 극심해지면서 과학탐구 점수 예측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6일 발표한 ‘9월 모의평가 지원 현황’을 보면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는 39만 1449명으로 전체의 61.3%를 차지했다.

종로학원의 분석에 따르면 이는 9월 모의평가 기준 15년 만의 최고치다. 사회탐구 응시 비율은 2012학년도에 60.9%를 기록한 이후 50%대를 유지했다.

올해 사탐 응시율은 지난해(53.2%)와 비교하면 8.1%포인트 상승했다. 응시인원으로 따지면 10만 1028명 늘었다. 반면 올해 9월 모의평가 과탐 응시율은 38.7%(24만 7426명)에 그쳤다.

‘사탐런’은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상대적으로 공부 부담이 적은 사회탐구로 갈아타는 것을 말한다. 주요 대학들이 내년도 대입부터 수시모집 수능최저학력 기준으로 사회탐구 과목을 인정하기 시작했고, 자연계 학과에서도 사탐을 수시·정시에서 반영하고 있어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정시에서는 가톨릭대·고려대·부산대·경북대 의대도 사회탐구 과목을 인정한다.

‘사탐런’이 올해 대입의 최대 변수로 부상하면서 사탐·과탐 과목별 유불리 상황이 커질 것이라는 입시업계 분석이 나온다. 응시인원이 줄어드는 과목에서는 수능 등급·백분위 고득점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어서다.

9월 모의평가에 지원한 수험생은 총 51만 5900명으로 재학생은 41만 210명(79.5%), 졸업생 등은 10만 5690명(20.5%)으로 집계됐다. 작년 9월 모의평가와 비교하면 총지원자 수는 2만 7608명 늘었다. 재학생이 2만 8477명 증가한 가운데 졸업생 등 수험생은 869명 감소했다.

올해 9월 모의평가는 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154개 고등학교(교육청 포함)와 533개 지정학원에서 동시 실시한다. 수능 출제기관인 평가원은 매년 두차례 공식 모의평가를 통해 수험생에게 문항 수준과 유형에 적응할 기회를 주고 응시자 특성과 개선점을 찾아 수능에 반영한다.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