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환경 지키는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4400억 투입

김형엽 기자
수정 2025-10-29 16:44
입력 2025-10-29 16:44
경북 봉화군 석포면 소재 영풍 석포제련소가 대규모 설비 투자를 통해 청정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29일 영풍은 최근 수년간 진행된 대규모 설비 투자와 운영 개선 효과가 수질 지표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제련소 하류 ‘석포2’ 지점 수질은 가장 최근인 지난 8월 측정 결과 평균 1~2급수 정도의 깨끗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용존산소(DO·8.9㎎/ℓ),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1.3㎎/ℓ), 화학적산소요구량(COD·4.4㎎/ℓ) 등 주요 지표는 모두 기준치 이하였다. 카드뮴·비소·수은·구리 등 중금속도 검출되지 않았다.
제련소 상·하류 4개 수질측정망 전체에서도 주요 오염물질이 검출 한계 미만으로 관리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환경 건강의 지표종인 수달이 인근에서 확인되기도 했다.
영풍은 2019년 ‘환경개선 혁신 계획’을 수립한 뒤 석포제련소 주변 수질·대기·토양 전 분야의 개선 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까지 약 4400억원을 투입하는 등 매년 약 1000억원 안팎을 투자하고 있다.
2021년에는 세계 최초로 제련소 폐수 무방류(ZLD·Zero Liquid Discharge) 시스템을 도입해 공정 폐수와 양수 처리 지하수를 전량 정화·재활용하고 있다. ZLD를 도입하면서 모든 오염물질의 낙동강 수계 배출이 차단됐다.
지하수와 토양 관리도 강화했다. 제련소 습식공장 하부 약 1만 7000평에는 콘크리트·내산벽돌·라이닝으로 구성된 3중 차단시설을 구축했고, 공장 외곽 약 3㎞ 구간에 지하수 확산방지시설을 설치해 하부 지하수의 외부 유출을 차단했다.
영풍 관계자는 “석포제련소는 과거에 비해 상당한 환경 개선을 이뤘다”며 “2030년에는 환경문제를 극복한 제련소의 모범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봉화 김형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