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장동혁, 광주 5·18묘지 참배 무산
수정 2025-11-06 16:25
입력 2025-11-06 14:49
/
11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시도하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시민단체의 항의에 참배하지 못한 채 발길을 돌리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시민단체의 항의에 참배하지 못한 채 발길을 돌리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시민단체의 항의를 받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시도하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시민단체의 항의에 참배하지 못한 채 발길을 돌리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시도하는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등 당 관계자와 저지하려는 시민단체 간에 몸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광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20여명이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참배를 하러 오기 전 규탄 집회를 열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의 참배를 반대하는 시민단체에 의해 화환이 훼손돼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의 참배 화환을 시민단체 관계자가 이동시키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시도한 뒤 되돌아 나가고 있다. 2025.11.6
연합뉴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6일 광주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았지만, 지역 시민단체의 거센 반발에 제대로 참배하지 못한 채 발길을 돌렸다.
장 대표는 이날 “민주주의를 위해 스러져간 5월 영령들 앞에 고개 숙이겠다”며 취임 후 처음으로 호남을 방문했지만, 차가운 호남 민심만 확인한 셈이 됐다.
장 대표와 양향자 최고위원, 정희용 사무총장, 김도읍 정책위의장 등 지도부가 이날 오후 묘지에 도착하자 광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장 대표 등을 둘러싸고 출입을 막았다.
이들은 “장동혁은 물러나라”, “내란 정당 해산하라”를 외치며 장 대표 출입을 거세게 저지했고, 장 대표는 입구에서 방명록도 적지 못한 채 경찰 호위를 받으며 5·18민중항쟁추모탑으로 걸음을 옮겼다.
일부 단체 관계자는 장 대표의 옷을 잡아당기며 참배를 막았고, 경찰과 단체 관계자, 당직자들이 뒤엉키며 현장은 아수라장이 됐다.
거센 저항에 이동이 어려워지자 결국 장 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는 추모탑 정면이 아닌 멀리 떨어진 곳에서 추모탑을 향해 30초가량 묵념했다. 헌화 및 분향은 하지 못했다.
묵념을 마친 장 대표 등이 버스를 타기 위해 돌아가는 길에도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항의와 고성이 쏟아졌다.
“뭐가 당당하다고 광주 옵니까”, “꺼져라” 등의 고성과 욕설이 터져 나왔다.
장 대표 등 지도부는 묘지 도착 19분 만에 버스를 타고 떠났다.
앞서 광주 81개 시민사회단체는 성명을 내고 “5·18을 폄훼하고 내란을 옹호한 장동혁 대표는 사죄해야 한다”며 장 대표의 광주 방문을 비판했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