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달이 뜨면 더 빛나는 병원이라며?…“평일 야간 진료 안 봐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수정 2025-10-03 18:00
입력 2025-10-03 18:00

2020년 17개소→올해 126개소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
경북 4곳…지역 의료 격차 심화
평일 오후 7시 끝? 도입 취지 무색

이미지 확대
중앙응급의료센터 달빛어린이병원 홈페이지 캡처.
중앙응급의료센터 달빛어린이병원 홈페이지 캡처.


평일 늦은 밤과 휴일에도 소아 경증 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달빛어린이병원이 지역 편중과 운영 불안정성 문제에 직면한 것으로 3일 파악됐다.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고 제도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7개소로 시작한 달빛어린이병원은 지난 7월 말 기준 121개소로 7배 이상 급증했다. 달빛어린이병원은 현재 전국 126개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 중 서울(15개소)·경기(37개소)·인천(7개소)을 합한 수도권에만 절반에 가까운 46.8%(59개소)가 집중돼 있다.

반면 지난 7월 기준으로 경상북도는 단 한 곳도 지정되지 않았다가 최근 4개소가 신규 지정됐다.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평가다.

신규 지정이 급증하는 동안 운영의 어려움 등으로 문을 닫는 지정 취소 병원도 해마다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지정 취소 병원은 2022년 1곳, 2023년 2곳, 지난해 2곳, 올해 2곳(7월 기준)이다.

평일 야간 진료를 통해 ‘달이 뜨면 더 빛나는 병원’이라는 의미의 ‘달빛’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반쪽짜리 병원’도 다수 확인됐다. 경남의 A병원과 울산의 B병원은 평일 야간 진료 없이 ‘토, 일, 공휴일’에만 운영되고 있었다. 경기도 C병원의 경우 화요일과 목요일은 오후 7시까지 진료하는 등 야간 진료가 제한적이었다.

심지어 일부 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아닌 인력 중심으로 운영돼 전문성 문제도 제기됐다. 서울의 D의원은 운영 인력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없이 ‘일반의/인턴 6명’으로만 신고됐고, 경기도 E의원은 전문의 1명이 응급의학과 소속으로 보고됐다.

장종태 의원은 “정부가 단순히 지정 병원 숫자 늘리기에만 급급한 나머지 정작 중요한 의료 서비스의 지역별 접근성은 놓치고 있다”며 “아이들이 위급할 때 믿고 찾을 수 있어야 할 달빛어린이병원이 부실하게 운영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부는 지금이라도 달빛어린이병원 운영 현황을 적극적으로 재점검하고, 의료 소외지역에 대한 지원책과 운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윤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