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도 벅찬데 테슬라까지 가격 공세…현대차·기아 이중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수정 2025-10-09 18:15
입력 2025-10-09 18:15

3분기, 영업이익 20%대 감소할 듯
美 관세 비용만 2조 7300억원 추정
테슬라, 보급형 전기차 모델 출시
현대차그룹, 美 시장 공략 ‘빨간불’

이미지 확대
서울 서초구 양재동 소재 현대자동차와 기아 사옥 전경. 서울신문 DB
서울 서초구 양재동 소재 현대자동차와 기아 사옥 전경.
서울신문 DB


현대자동차·기아가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25%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테슬라가 보급형 전기차를 선보이고 가격 경쟁에 불을 붙여 이중고에 시달리게 됐다.

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추정한 현대차의 3분기 합산 매출 전망치는 44조 7373억원, 영업이익은 2조 677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이는 3분기(매출 42조 9283억원·영업이익 3조 5809억원) 대비 매출은 4.2%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5.2% 감소한 수준이다. 기아의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각각 27조 5543억원, 2조 3974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지난해 3분기(26조 5199억원)보다 3.9% 늘었고 영업이익은 2조 8813억원에서 16.8% 감소했다.

현대차의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15.8% 감소한 3조 6016억원, 기아는 24.1% 감소한 2조 7648억원이었다는 점에서 3분기에 수익성 악화 폭이 확대된 것이다. 한국은 자동차 관세 후속 협의에 난항을 겪어 일본이나 유럽연합(EU)과 같은 15%가 아니라 여전히 25%를 적용받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현대차·기아의 3분기 미국 관세 비용을 현대차 1조 5000억원, 기아 1조 2300억원으로 각각 추계했다. 이는 지난 2분기 관세 비용의 1.6∼1.8배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가 3만 달러대 보급형 모델을 출시하면서 현대차그룹의 미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도 비상이 걸렸다. 테슬라가 지난 7일 공개한 전기차 모델Y 스탠더드는 3만 9990달러, 모델3 스탠더드는 3만 6990달러로 기존 모델보다 5000달러가량 저렴하다. 미국이 최근 최대 7500달러의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를 폐지하면서 소비자들의 전기차 구매 부담을 낮추기 위한 전략이나, 기아 EV6의 미국 판매가는 4만 2900달러로 테슬라 모델Y보다 비싸졌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를 최대 9800달러 인하하며 대응에 나섰으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기차 가격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현대차·기아는 다른 업체의 가격 동향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라며 “일단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향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종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