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률의 정원일기] 추억은 썩지 않는다… 그저 빛바래져 갈 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25-10-14 00:56
입력 2025-10-14 00:20
이미지 확대
일러스트 고재하
일러스트 고재하


시월 하면 반사적으로 떠오르는 노래가 있다. 이브 몽땅의 샹송 ‘고엽’이다. 불문과에 다니는 하숙집 형이 폼나게 불렀다. 소리 나는 대로 베껴 나도 따라 불렀다. 그의 저음은 더없이 매력적이다.

자크 프레베르의 시에 곡을 붙인 세기의 명곡쯤 된다. 시월에 들어야 맛이 난다. 낙엽을 인간의 죽음에 비유한 대단히 슬픈 노래다. 조락의 계절에 딱 어울린다. 그리고 노래는 숲을 가진 사람에게는 쓸쓸함이 배가된다. 우수수 떨어지는 낙엽을 바라보면 많이 심란하다.

가을이 오면 지난여름을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젊은 날의 철부지 기억들이 어제같이 떠오른다. 금빛으로 빛나는 기억들이 중년의 외로움을 버티게 해 주는 든든한 보험이 된다고 한다. 어느덧 시월 중순, 세상은 이제 가을 속에 완연히 들어와 있다.

마당을 쓸었다. 담쟁이잎, 은행잎, 단풍잎이 가득하다. 족히 서너 포대는 될 듯하다. 고딩 때 달달 외었던 김광균의 시 ‘추일서정’이 생각난다. 밟으면 바스락거리는 낙엽 소리가 신비하다. 보름 전 핀 마지막 호박꽃은 스산한 가을바람에 고개를 숙이고 있다. 구절초, 산국, 쑥부쟁이도 하루가 다르게 야위어 간다.

담장에 매달린 조롱박이 여물었다. 아주 어릴 때 할아버지 집 지붕에서 봤던 박이다. 하얀 박꽃은 소름 끼치게 검박하다. 달밤에 핀 형광빛 박꽃은 청상과부의 소복처럼 파르라니 빛난다. 그리고 먼 산에서 부엉이가 울면 어린 소년은 겁에 질려 움찔하곤 했다. 박속을 파내어 만든 박나물도 시월의 별미다. 이제 박나물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화려하던 여름과 달리 가을 정원은 적요하다. 가끔 동네 고양이들이 장난칠 뿐 고요함 그 자체다. 오늘 아침 정원 주목 아래 부추꽃이 뒤늦게 피었다. 어느 시인이 그랬다. 부추꽃이 하얗게 핀 그 어디에도 사람이 살았다고.

가을에는 온갖 상념에 잠자리를 뒤척이게 된다. 한숨이 길어진다. 모파상은 ‘모든 것을 가지려 했으나 결국 아무것도 갖지 못했다’고 묘비에 썼다. 스탕달의 묘비명은 ‘살았다. 썼다. 사랑했다’이다. 삶이란 그런 것이다. 못내 그리운 우리들의 청춘이 생각나는 가을이다. 추억은 썩지 않는다. 그저 빛바래져 갈 뿐이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이미지 확대
김동률 서강대 교수
김동률 서강대 교수
2025-10-14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