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 무공해차 980만대 무리” 자동차 부품업계, 속도 조절 촉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수정 2025-10-14 00:18
입력 2025-10-14 00:18

KAICA “650만대 이하로 낮춰야”
환경부 온실가스 감축안에 반발
“사업 전환율 20%뿐… 고용 불안”
하이브리드·e-퓨엘 등 대안 제시

이미지 확대
이택성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이사장 등 자동차 부품업계 관계자들이 13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산업회관에서 정부의 무공해차 보급 목표 속도 조절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한 뒤 구호를 외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오원석 코리아에프티 회장, 안정구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이 이사장, 문성준 현대자동차·기아 협력회장, 허우영 한국GM협신회장, 박경배 KGM파트너스 회장.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제공
이택성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이사장 등 자동차 부품업계 관계자들이 13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산업회관에서 정부의 무공해차 보급 목표 속도 조절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한 뒤 구호를 외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오원석 코리아에프티 회장, 안정구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이 이사장, 문성준 현대자동차·기아 협력회장, 허우영 한국GM협신회장, 박경배 KGM파트너스 회장.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제공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가 2035년까지 최대 980만대의 무공해차(전기·수소차)를 보급한다는 정부의 목표가 비현실적이라며 최대 650만대 수준으로 하향 조정할 것을 촉구했다. 미국의 25% 관세로 어려움을 겪는 데 정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따라 자동차 내수 판매를 급격하게 전기차로 채우면 부품 기업의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지는 만큼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은 13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산업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입장을 밝혔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달 24일 토론회를 열고 2018년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35년까지 48~65%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2035년 차량 등록 대수를 2800만대로 가정하면 무공해차 등록 비중은 30~35%(840만~980만대)로 추정된다.

하지만 KAICA는 급격한 무공해차 전환은 부품업계의 위기를 자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만여 곳에 달하는 국내 부품기업 중 45.2%가 엔진·변속기·연료·배기계 등 내연기관 관련 부품을 생산하고 있고 해당 기업 종사자는 11만 5000여명에 달한다. 정부 구상대로라면 2034년부터 내연기관 판매가 사실상 중단되어야 하는데, 부품 기업의 무공해차 사업 전환율은 19.9%에 불과해 대부분의 기업이 어려움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택성 KAICA 이사장은 “대규모 구조조정과 고용 불안이 가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KAICA는 현실을 반영해 2035년 무공해차 보급 목표를 전체 등록 비중의 20% 내외인 550만~650만대 수준으로 보급 목표를 하향 조정할 것을 요청했다. 이를 통해 산업·고용 충격을 최소화하면서도 국제 사회의 책무를 이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신 KAICA은 하이브리드(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및 탄소중립연료(e-퓨엘) 등 기술적 대안을 활용할 것을 요구했다. 내연기관이 사용되는 하이브리드차와 e-퓨엘을 연료로 하는 내연기관차를 감축 수단에 포함하면 내연기관 부품기업에 전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재정·금융 지원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하종훈 기자
2025-10-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