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제헌절 단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수정 2025-07-17 02:18
입력 2025-07-17 00:49
이미지 확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지난겨울, ‘헌법주의자’를 자처하던 국가 지도자의 반헌법적 내란 행위에 분노한 시민들은 헌법 제1조 1항과 2항을 가슴에 품고 거리로 뛰쳐 나왔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혼란과 분열 속에서 자발적으로 헌법을 읽고, 필사하며 민주공동체를 지키려 애쓴 시민들의 노력 덕분에 대한민국은 세계가 깜짝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민주주의를 회복할 수 있었다.

1948년 제헌헌법의 제정을 기념하는 제헌절이 오늘로 77주년을 맞았다. 해마다 어김없이 돌아오는 날이지만 올해는 의미가 더욱 각별하다. 헌정 질서를 뒤흔든 충격적 사태의 집단 경험이 이제는 제헌절을 달력 속의 기념일로만 머물러 있지 않게 한다. 헌법 정신을 되새기고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확인하는 날로서 그 무게감이 사뭇 다르게 다가온다.

이번 기회에 ‘5대 국경일’ 가운데 유일하게 공휴일에서 제외된 제헌절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면 좋겠다.

이순녀 수석논설위원
2025-07-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