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중독자 뇌에서 ‘이것’ 발견…끊지 못하는 진짜 이유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수정 2025-10-07 22:59
입력 2025-10-07 21:15
이미지 확대
알코올 중독에 뇌 부위인 ‘시상 뇌실방핵’(PVT)이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23rf
알코올 중독에 뇌 부위인 ‘시상 뇌실방핵’(PVT)이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23rf


술 중독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만드는 뇌 부위가 발견됐다. 이번 성과는 중독과 불안, 트라우마 치료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스크립스 연구소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뇌의 작은 부위인 ‘시상 뇌실방핵’(PVT)이 알코올 중독의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과학 전문 매체 사이언스데일리가 7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쥐들을 네 그룹으로 나눠 실험했다. 금단 증상을 겪은 후 술이 그 고통을 덜어준다는 것을 학습한 쥐들과, 그런 경험이 없는 대조군 세 그룹을 비교했다.

연구팀이 첨단 영상 기술로 쥐의 뇌 전체를 세포 단위로 분석한 결과, 금단 증상 완화를 학습한 쥐들의 뇌에서 시상 뇌실방핵이 특히 활성화됐다.

이 부위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를 이끈 프리드버트 와이스 스크립스 연구소 교수는 “중독을 끊기 어려운 이유는 사람들이 단순히 쾌감을 추구하는 게 아니라 금단 증상의 스트레스와 불안에서 벗어나려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동 저자인 헤르미나 네델레스쿠 박사는 “심리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중독이 쾌락 추구가 아닌, 고통 회피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그 학습이 뇌의 어느 부위에서 이뤄지는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생물정신의학 8월 5일 자에 실렸다.

이번 발견은 알코올 중독을 넘어 다양한 정신 장애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통과 스트레스를 피하려는 뇌의 학습 메커니즘은 불안장애, 공포증, 트라우마 등 여러 장애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네델레스쿠 박사는 “이 연구는 알코올 중독뿐 아니라 사람들을 해로운 악순환에 가두는 다른 장애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