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교육청, ‘수능 시험 관리본부’ 본격 가동

서미애 기자
수정 2025-10-13 16:09
입력 2025-10-13 16:09
광주지역 2026학년도 대학수능 1만7731명 응시
40개교·645개 시험실 지정, 감독관 3300명 배치
문답지 운송~재난 대비 ‘수능 컨트롤타워’ 역할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오는 11월 1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수능 시험 관리본부’ 가동에 들어갔다. 올해 광주지역 응시생은 1만7731명으로 지난해보다 885명 증가했다.
시교육청은 “수험생들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26지구 광주 수능시험 관리본부’를 설치하고 운영에 돌입했다”고 13일 밝혔다.
관리본부는 수능시험 전 과정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 세부 시행계획과 업무 지침 점검은 물론, 문답지 운송·보관 상태 관리, 시험장·감독관 배치, 부정행위 예방대책 시행, 긴급 상황 대응 등을 맡는다.
광주지역에는 일반시험장 40개교, 예비시험장 1개교(재난 대비)가 지정됐다. 총 645개 시험실이 운영되며, 시험장마다 환자 대비용 별도시험실 1실, 미응시자 대기실 1실이 마련된다.
수능 운영에는 관리요원과 감독관 등 3300여 명이 투입된다. 경찰 80명(시험장당 2명)이 문답지 호송 및 주변 순찰을 지원하고, 119구급대원 40명(시험장당 1명)도 시험장에 상주해 응급상황에 대비한다.
시교육청은 지난 5월부터 3차례에 걸쳐 시험장 시설과 방송장비, 안전관리 체계를 점검하고, 노후 시설과 방송설비를 보완했다. 또 시험장별로 재난대응 매뉴얼을 점검하고 유관기관과 비상연락망을 구축했다.
모든 수험생은 수능 전날인 11월 12일 오전 수험표를 교부받아야 한다.
재학생과 졸업생은 소속(출신) 학교에서, 검정고시 출신이나 타 시·도 고교 졸업생은 광주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험표를 받을 수 있다.
시교육청은 수험표를 받은 뒤 반드시 시험장 위치를 확인하고, 수험생 유의사항을 숙지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전자기기 등 시험장 반입 금지 물품을 철저히 점검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험 당일에는 수험표, 신분증, 개인 도시락, 음용수 등을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
올해 광주 수능 응시자는 총 1만7731명이다. 이 가운데 재학생은 1만2658명(71.4%)으로 지난해보다 974명 증가, 졸업생은 4243명(23.9%)으로 177명 줄었다. 또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830명(4.7%)으로 전년보다 88명 늘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최근 대학 진학률이 소폭 회복하면서 재학생 응시자가 늘었다”며 “올해 수능은 지난해보다 응시자 구성이 보다 안정적인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은 “어려운 과정을 이겨내고 꿈을 향해 달려온 수험생들이 원하는 목표를 이루길 바란다”며 “광주 수험생들이 불편함 없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수능시험에 임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