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노벨상 수상 1년, K문학의 미래
수정 2025-10-15 01:21
입력 2025-10-15 01:00
한국문학, 외형적으론 탄탄대로
핵심 과제인 번역가 육성 제자리
세계문학 정립 위한 구체적 정책을
올해 노벨문학상은 헝가리 작가 크리스너호르커이 라슬로에게 돌아갔다. 예년과는 달리 편안한 마음으로 수상자 발표를 지켜보고, 축하할 수 있었다. 지난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확연히 달라진 풍경이 아닐 수 없다. 실제 우리 언론과 문예지들도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1년을 돌아보고 달라진 한국문학의 위상과 미래를 조망하는 데 비중을 뒀다.필자 역시 관련한 대담이나 인터뷰에서 지난해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문학이 통과해야 할 중요한 관문을 지났을 뿐이라는 점을 수없이 강조한 바 있다. 한국문학의 해외 소개, 한국문학의 세계화 과정을 넘어서 이제 세계문학의 일원으로서 세계문학과 동시성을 갖게 됐고 수용자에서 전달자로서의 위치를 바꾸게 된 새로운 출발점에 서게 됐다고 말이다.
한국문학번역원에 따르면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지난해 해외에서 판매된 한국문학 번역서는 120만 부로 전년도 52만 부에 비해 2배 이상 급증했다고 한다. 올해 ‘해외 출판사 번역출판 지원사업’ 신청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 이상 늘었고 K문학의 판권 수출도 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대산문화재단의 지원 결과까지 더하면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한국문학은 외형상 화려한 탄탄대로를 걷고 있는 듯이 보인다.
하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리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세계인이 함께 읽는 한국문학을 만들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인 원어민 번역가 육성을 위한 번역대학원대 설립이 제자리걸음이다. 노벨문학상 수상 직후 설립 근거 마련을 위한 문학진흥법 개정이 이루어졌지만 아직 눈에 띄는 진전이 보이지 않는다. 한 해 어권별 정원이 7~8명가량이고 그 가운데 70% 이상은 해외에서 한국학을 전공한 원어민 학생이라는 설명에도 불구하고 예산을 담당하는 부처에서 국내 학령인구가 부족하다는 점과 관리가 어렵다는 점을 들어 완강히 반대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후문에 어처구니가 없을 따름이다.
한국문학 번역서의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고는 하지만 한강의 작품을 비롯한 몇몇 작품을 제외하면 이른바 K힐링 소설과 SF, 판타지 등 장르문학의 비중이 두드러진다. 이는 새로운 번역출판 지원 신청과 판권 판매 현황을 보면 더욱 확연하게 나타난다. 이를 두고 세계문학의 일원이 되고, 나아가 시간의 풍상과 공간의 낯섦을 이겨내고 정전(正典)으로 자리매김하려는 한국문학의 미래상을 위해서는 걱정스럽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독자가 증가하는 지금이야말로 전체의 맥락 속에 중요한 위치에 있는 주요 작품들을 체계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따라서 지금의 수용자 중심 한국문학 번역출판 지원을 가속화하면서 한편으로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 및 문학사적 관점에서 중요한 한국문학의 정수를 세계문학의 장 안으로 진입시키는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을 정립하는 기획이 절실하다. 적어도 영어, 프랑스어 등 영향력과 파급력이 큰 언어권을 중심으로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정전’ 기획 번역과 출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지원 기관과 정책 당국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수립에 나서야 한다. 물 들어올 때 노를 젓되 전략과 방향을 명확히 정하고 저어야 한다는 것이다.
1980년대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던 홍콩 누아르 영화가 어느 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사실이 문득 떠오른다. 자기도취에 빠져 무분별한 자기복제를 계속하면서 질도 영향력도 떨어져 결국은 도태되고 만 것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K컬처의 화룡점정을 이룬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K컬처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느냐의 여부는 지금부터 몇 년 동안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고 시행하는가에 달려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곽효환 시인·전 한국문학번역원장

2025-10-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